기후동행카드 출시 가격, 실물카드 판매처, 사용방법 총정리
"기후동행카드" 대중교통 정기권 아직도 신청 안 하셨나요?
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출퇴근을 하시거나,
뚜벅이 대학생들은 필수템 [기후동행카드] 안 하시면 손해입니다.
기후동행카드 모든 것을 알려 드리겠습니다.
[종류, 가격, 구매방법(모바일, 실물카드), 구매처, 사용방법 및 환불방법, 등]
가장 중요한 정보
"기후동행카드" 구매, 등록, 구입처
▶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 동안 대중교통 [지하철, 버스] 따릉이까지
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
▶실물 카드 판매처 [편의점, 역 고객안전실 위치] 정보
▶모바일 카드구입 하셨다면 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후 카드 발급 후 충전
▶ 실물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"티머니 카드&페이"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이 필요
▶ 아이폰 이용자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구입하셔서 등록
목차
1. 기후동행카드
1-1. 기후동행카드란 / 1-2. 기후동행카드 사업내용
2. 기후동행카드 금액 정보
2-1.카드정보 / 2-2.카드종류
3.카드구매 및 충전방법
3-1.모바일카드 / 3-2.실물카드 / 3-3.충전방법
4.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
1. 기후동행카드
1-1. 기후동행카드란?
▶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
▶다만 서울에서만 사용 가능 / 지하철, 버스 많이 탈수록 이득
▶ 1월 27일 전국 최초로 대중교동 무제한 정기권인 "기후동행카드"를 선보입니다.
▶ 시범사업 시작에 앞서 1월 23일부터 기후동행카드 구입이 가능합니다.
▶ 1월 23일 판매가 시작 된 "기후동행카드"는 연일 매진이 되고 있어 관심이 뜨껍습니다.
1-2. 기후동행카드 사업내용
▶사업기간 : 2024년 1월 27일 ~ 6월 30일
-1월 23일 기후동행카드 판매시작
▶이용범위 : 서울지역 지하철, 서울시 면허 시내. 마을버스, 따릉이
▶이용제외 : 신분당선, 서울지역 외 지하철, 광역 / 공항버스, 타 지역 면허버스
※버스의 경우 :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, 하차하더라도 타드 사용가능
※치하철의 경우 :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서울지역 외 하차할 경우 카드 사용 불가
예 : 종로(서울) 승차 →산본(경기) 하차 시 기후동행카드 사용불가, 하차역에서 역무원에게 별도 요금 징수
※기후동행카드 지하철 가능한 역 노선표
2. 기후동행카드 금액 정보
2-1. 카드가격 정보
-서울지역 지하철 / 버스 : 62,000원권
-서울지역 지하철 / 버스 / 따릉이 : 65,000원권
2-2. 카드종류 정보
-모바일카드 :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/ OS 12 이상
-실물카드 : ISO 기반 휴대전화 / 디지털 약자
3. 카드구매 및 충전방법
3-1. 모바일 카드
-모바일카드 : "모바일 티머니"앱 다운로드 → 회원가입→"기후동행카드 발급 후 충전
3-2. 실물카드
-실물카드는 현금 결제[실물카드 3,000원 별도 구매, 최초 구매 후 매달 충전]
-실물카드 사용 시 반드시 "티머니 카드&페이"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 필요[1인 1 카드]
-무인충전기는 서울교통공사[1호선~8호선] / 9호선 / 우이신설선 / 신림선 역사 내 위치
※실물카드 구입처
3-3. 충전방법
-1월 23일부터 모바일 / 실물카드 구매 및 충전 가능
-카드 충전 시 충전일로부터 5일 이내 사용개시일 선택가능
[1월 23일 충전 시 1월 27일부터 사용가능. 30일 후 자동 만료]
-재충전은 사용기간 만료 5일 전부터 가능 / 만료일 + 30일 자동으로 연장
4. 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
▶사용개시일로부터 30일간 사용 가능
4-1. 지하철, 버스 사용방법
-모바일[실물] 카드를 태그 하여 승. 하차
[하차 미태그 2회 누적 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, 24시간 사용정지]
※하차 시 꼭 태그 하셔야 불이익받지 않습니다.!!
4-2. 따릉이 사용방법
-"티머니 GO"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 시 30일 사용 기간 동안 1시간 이용권 제공
[실물카드는 "티머니 카드&페이 홈페이지"에 등록된 카드에 한해 이용가능]
5. 맞히며
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출, 퇴근을 하시는 직장인, 대학생분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.
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, 따릉이) 무제한 이용 하실 수 있으니
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시는 분들은 사용을 안 하시면 손해 인듯합니다.
다만 자신의 출, 퇴근 비용, 사용해야 하는 대중교통, 등 잘 따져보고
카드 혹은 금액을 결정하셔야 할 듯합니다.
서울시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후동행카드와 빈도수가 적다면 5월에 출시되는
전국 사용 가능한 K패스를 비교해서 사용하셔도 될듯합니다.
같이 살펴 볼만 한 K패스 카드 알아보기
전국민 사용 가능한 K패스 카드 정보 알아보기